얼마 전 봉준호 감독의 새 영화 ‘기생충’이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2002년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수상했고, 2001년 배우 전도연이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았으며, 2010년 이창동 감동이 ‘시’로 각본상을 받기도 했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칸국제영화제에서 그랑프리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크게 박수칠 일이다. 데뷔 이래 봉준호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영화를 꾸준히 만들었다. 그의 영화가 담고 있는 아이러니를 바탕으로 한 풍자는 관객으로 하여금 눈물을 머금은 웃음을 유발한다. 칸이 내린 “봉준호가 곧 장르”라는 평가는 봉준호의 이러한 독특한 영상미학을 이르는 말일 것이다.

 대부분 봉준호 영화를 생각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배우 송강호일 것이다. 달인의 경지에 든, 송강호의 능청맞은 연기는 봉준호 영화에 꼭 맞다. ‘살인의 추억’이나 ‘설국열차’에서도 그랬지만, ‘괴물’에서는 더욱 그러했다. 이번 수상에 그의 연기가 한몫했으리라 짐작된다. 그런데 문학을 공부하며 가르치고 있는 탓인지, 내 머리에는 봉준호 하면 박태원이 더 먼저 떠오른다. 박태원은 우리 문학사를 빛낸 탁월한 소설가다. 그가 봉준호의 외할아버지이다. 봉준호는 스스로 박태원에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도리어 디자이너이며 미술대 교수였던 아버지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준호의 독창적인 예술성은 박태원의 그것을 떠오르게 한다.

 박태원은 1930년대 우리 문단의 커다란 한 축을 형성했던 구인회(九人會)의 회원이었다. 구인회는 박태원을 포함한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이상 등 아홉 명으로 구성된 일종의 문인 단체다.* 이는 매우 중요한 문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대체로 그 회원들은 현대적인 예술을 지향한 모더니스트이며 스타일리스트들이었다. 구인회가 불어넣은 새바람은 우리 문학을 더없이 풍요롭게 만들었다. 박태원은 구인회 회원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소설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전통적인 소설 기법에서 현저히 벗어난 독특한 소설미학을 추구했다. 그는 소설에 표를 삽입하기도 하고, 약국 처방전을 그대로 써 넣기도 한다. 그의 단편소설 「방란장주인」은 아주 긴 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그는 많은 쉼표를 써서 정확한 한 문장의 소설을 완성했다.

 박태원의 대표작 『천변풍경』은, 1930년대 청계천변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려낸 소설이다. 그는 드라마틱한 이야기 속에 주제를 담아내기보다는 에피소드를 엮어 한편의 소설을 만들어낸다. 이 소설에는 이렇다 할 주인공이 없다. 70여명의 인물의 생활을 통해서 당대의 경성(당시의 서울) 풍경을 그려내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소설을 모자이크에 비유하기도 한다. 서사(敍事)보다는 묘사(描寫)를 위주로 하고 있어서, 이 소설은 시각적이다. 흔히 묘사를 회화에 비유하지만, 이 소설은 회화적이라기보다 영화적이다. 박태원은 그림을 그리듯이 소설을 쓰기보다 영화의 쇼트를 찍듯이 장면을 글로 그려냈다. 그 쇼트들이 모여서 한 쪽의 모자이크 에피소드가 되고, 그 모자이크가 모여서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박태원은 또 다른 대표작 󰡔소설가 구보(仇甫) 씨의 일일󰡕에서 ‘산책자소설’을 제시한다. 정오에 집을 나온 주인공 구보는 경성 시대를 산책을 하듯 배회하다가 새벽 2시에 귀가한다. 그는 주인공 구보의 눈에 비친 당대 경성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이 또한 영화적이다. 구보의 시선은 카메라 앵글과 같다. 그런데 이 카메라는 의도되지 않은 듯하다. 그는 이 의도되지 않은 자동카메라를-들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따라다니며 찍어댔다. 그래서 거기에 담긴 장면은 더욱 생생하다. 구보는 일종의 독특한 문화적 현상이 된다. 최인훈은 이 소설의 형식을 빌어 󰡔소설가 구보(丘甫) 씨의 일일」 연작소설을 써낸다. 주인석도 「소설가 구보 씨의 하루」를 썼고, 황영미도 「구보 씨의 더블린 산책」을 썼다. 박태원은 자신의 호를 구보로 삼았다. 구보(仇甫), 구보(丘甫), 구보(九甫)를 두루 썼다. 때로는 살짝 바꾸어 몽보(夢甫)라고도 썼다.

 박태원은 한국전쟁 중에 월북했다. 정지용을 만나러 간다며 나가서 소식이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월북의 경위와 동기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당시 이데올로기와 상관없이 많은 문인들이 이승만 정권의 정책에 실망해 월북했다. 하지만 북한에서도 대부분 숙청을 면치 못한다. 김일성 체재는 그들의 생각했던 것과는 판이했던 것이다. 역사적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박태원 역시 1956년 숙청당하지만, 다행히 1960년 복권된다. 그는 죽을 때까지 펜을 놓지 않았다. 북한에서 그는 대작 󰡔동학농민전쟁󰡕을 썼다. 완전실명과 전신불수에도 불구하고 부인 권영희의 대필로 죽기 직전까지 소설에 매진했다고 전한다. 결국 권영희에 의해 소설은 완결되었다고 한다. 예술에 대한 그의 열정에 머리가 숙어진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기생충」은 아직 개봉하지 않았다. 영화 「기생충」으로 봉준호가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는 것보다, 봉준호의 새로운 영화를 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더욱 기쁘다. 영화 팬에게 봉준호 영화는 선물이다. 이 영화는 가족희비극을 표방하고 있다. 얼마나 능청맞은 유머로 또 우리를 웃기고 울릴 것인가? 봉준호의 그 독특한 아이러니의 세계가 기대된다.

 

* 구인회의 회원은 여러 번 바뀌었지만, 회원 수는 아홉 명을 유지하였다.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