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트여객기 285g, 버스 68g, 기차 14g.’ 유럽환경청(EEA)이 분석한 각 운송수단의 1㎞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다. 비행기가 버스의 4배, 기차의 20배에 달한다. 물론, 항공 산업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3~4%)은 미미하지만, 1대당 배출량이 너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위와 같은, 친환경적이지 않은 교통수단이라는 오명을 벗어 던지기 위하여 항공업계가 변화하고 있다. 즉, 지구온난화의 심각성 대두로, 주목을 받고 있는 친환경 바람이 항공업계에도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ESG 경영’‘탄소 제로’ ‘탄소 중립’ 열풍에 맞춰 항공업계는 친환경 항공기 개발 및 친환경 항공기 운항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소 비행기가 온다…AIRBUS 수소 비행기 개발 중

 항공기 제작 업체는 기존의 화석 연료에서 탈피하여, 수소나 전기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대형 항공기 제작사인 에어버스는 수소를 중심으로 한 항공기 개발에 앞장을 서고 있다. 에스피노자 에어버스 코리아 지사장은 “항공산업의 미래에는 ‘탄소 제로’ 에너지인 수소가 필수적인 요소”라며 “수소는 가스나 액체로 압축해 사용할 수 있어 제트 연료와 비교해 효율성을 100% 향상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₂) 배출도 없다”고 밝혔다. 에어버스는 총 3개의 친환경 수소 비행기 콘셉트를 선보이고 있는데, △터보팬 기종으로서 제트연료 대신 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가스터빈엔진을 장착한 항공기, △터보프롭 엔진을 수소 엔진으로 변환해 프로펠러 돌리는 프롭 항공기, △날개와 동체가 붙은 일체형인 ‘블랜디드 윙 바디(Blended wing body)’ 형태의 컨셉트 항공기 등이 그 대상이다. 위의 3가지 컨셉트의 수소 연료기반 항공기에 대하여 현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25년에는 모든 컨셉트 기종의 개발을 완료하여 2030~2035년 사이에는 수소 연료 항공기의 상용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라고 에스피노자 지사장은 전하였다.

친환경 항공유…친환경 비행 실현 키포인트

 국내 항공 운송 업체는 친환경 항공유를 도입함으로써, 친환경 비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 FSC인 대한항공은 최근 SK에너지와 손잡고 탄소 중립 항공유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탄소 중립 항공유는 원유 추출, 정제, 이송 등 생산 과정에서 사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양을 산정한 뒤 해당량만큼 탄소배출권으로 상쇄해 실질적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 항공유다. 대한항공은 우선 제주와 청주 출발 국내선 항공편의 1개월 소요분 탄소 중립 항공유를 구매하기로 했다. 또한, 올해 6월에는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 항공유 제조 및 사용 기반 조성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곡물,식물, 해조류, 동물성 기름 등에서 뽑아낸성분을 합성·가공해 생산하는 바이오 항공유는 기존 항공유보다 온실가스를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특히, 대한항공은 2017년 국내 항공사 최초로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바이오 연료가 혼합된 항공유를 사용해 미국 시카고-인천 구간을 운항하기도 하였다.

신기재 도입, 종이 줄이기 프로젝트…이미 실현되고 있는 친환경 비행

 국내 항공 운송 업체는 이러한 친환경 항공유 외에도, 친환경 신기재 도입, 종이 줄이기 프로젝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도 친환경 운항을 실현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A350 신기재 도입으로 기존대비 연료 소모량을 25%정도 개선하였다. 특히, 미국 시애틀 노선의 경우 A350으로 운항 기종을 교체한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2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은 EFB(전자비행정보)를 도입해 조종실에 비치된 운항 매뉴얼 등의 종이 자료를 태블릿PC로 대체하였다. 이외에도, 제주항공은 활주로에 진입할 때 정지하지 않고 이미 확보한 동력을 활용하는 활주이륙과 활주로의 끝까지 가지 않고 중간에 진입해 이륙하는 중간이륙 등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운항을 적극적으로 시행 중이기도 하다.

탄소 중립과 친환경 정책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서 우리 앞에 당도해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흐름에 발을 맞추어, 항공기 제작 업체와 국내 유수의 항공 운송 업체가 친환경 비행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는 점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비단 이러한 기업들의 노력뿐 아니라, 우리 소비자들도 친환경 비행에 적극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친환경 비행을 적극적으로 탑승하는 등의 노력도 같이 동반되어야, 진정 친환경 비행이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