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달 29일(수), 30일(목) 이틀간 ‘2016 세계항공 허브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 컨퍼런스에서는 항공분야 석학 및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허브공항의 역할과 미래비전, 세계 항공업계의 현안과 발전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공항은 단순히 항공기의 이착륙을 지원하는 시설을 넘어 공항을 중심으로 연관 산업과의 긴밀한 생태계를 구축하며 인적, 물적 교류를 촉진하는 거대한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시작했다”며, “인천공항이 이러한 세계항공산업의 변화를 선도해나가고자 이번 컨퍼런스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Session 1 허브공항의 도전과 과제
Moderator : Gary Gibb(President, Asia Pacific, L&B World Side Australia Pty Ltd)
Panelists : Vinoop Goel(Asia-Pacific Director, Airport, Passenger, Cargo&Security department, IATA), Christian Poulsen(Vice President&CIO, Copenhagen Airport), 조성준(Professor, Industrial Engineering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광수(Vice President, Passenger Service Divisi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20년 이후 항공시장은 세계적으로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에 따른 허브 공항은 많은 수요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코펜하겐 공항의 경우에는 자동화 시스템을 미리 도입하여 늘어날 수요에 대해 미리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인천공항을 비롯한 다른 허브 공항도 이를 도입하여 항공시장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에서는 현재 자동화 시스템을 계속해서 도입하여 이용객이 편리하게 공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제 2 여객터미널 건설로 더 많은 이용객을 수용할 준비를 마쳐가고 있다. 
한편, 자동화 시스템과 함께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도 나왔다.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객의 동선과 공항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이용객의 편의에 발맞춘 최적의 AI 자동화 시스템이 머지않아 나올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증강현실로 자신의 짐이 어디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도 현재 일부 시범 운영하는 것으로 새로운 기술이 항공분야와 접목하여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ssion 2 허브 네트워크의 성장 전략
Moderator : Jagoda Egeland(Economist, Project Manager, OECD ITF)
Panelists : Guillaume Burghouwt(Head of Section Aviation Economics Director Airneth, SEO Economic Research), 최규남(CEO, Jeju Air), Laurent Boisson(Head of Airports&Product Competitiveness, AirBus), 김용철(Executive Vice President, Division of Passenger Business, Korean Air), 박용화(Professor, Asia-Pacific Logistics Department, Inha University)
허브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연결성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 중국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연결성을 이용하면 충분히 세계적인 공항으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Session 2에서 강조한 것은 LCC였다. 인천공항이 FSC와 LCC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공항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인천공항에 있는 시설들은 FSC를 감안한 것으로, LCC 전용시설은 갖추어 있지 않다. 그러나 앞으로는 LCC가 항공시장의 과부하를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예측하였고, 그에따라 LCC가 공항에 위치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인천국제공항은 현제 LCC가 20%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비중이 더 커질 것인지에 대해 토론이 이어졌다. 현재로서는 LCC의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으나 앞으로 이에 대한 대처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담겨 있었다. 특히 2023년이면 인천국제공항의 제 2터미널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새로운 여객터미널을 신설해야 하는데, LCC 전용 터미널을 세울지 아니면 다른 방식의 터미널을 세워야 할지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Session 3 항공화물의 미래와 기회
Moderator : 이철웅(Professor, Industrial Management Department, Korea University)
Panelists : Loo Hay Lee(Professor, Department of Industrial&Systems Engineering,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Kersti Krepp(Vice President, Asia Pacific, Polar Air Cargo), Kim Diane(Vice President, Smart Logistics Unit, Samsung SDS), 정태영(Senior Vice President, Logistics and Supply Chain, CJ Korea Express)
항공화물의 수요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항의 중요도를 높여야 한다. 인프라를 구축해서 공항의 경쟁력을 유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공항을 바로 도심물류기지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 빅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하여 공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려면 자동화기술의 도입이 시급하다.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해서 저비용으로 더 효율적인 운송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 항공화물의 수요를 늘리는 것이 기대된다.

Session 4 허브공항의 미래 성장
Moderator : Anne Graham(Professor, Air Transport&Tourism Department, Westminster University)
Panelists : John Luderitz(Senior Vice President, Business Developement Division, Mohegan Sun), 유창경(Professor,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Tim Jones(Travel and Tourism Consultant), 김연명(Vice President, Aviation Research Departmen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Session 4에서는 관광지로서의 공항의 기능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공항은 air city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다. 럭셔리 호텔, 테마파크, 컨벤션, 컨퍼런스, 생태공원, 의료관광시설 등의 글로벌 리조트가 공항에 마련되면 외국인 관광객이 14.3%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곧 동북아의 거점으로서의 허브공항의 발판이 될 것이다.
한편, 항공정비부분에 대해서는 인천공항이 아직까지는 취약한 단계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항공기를 운항하는 공항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인데, 인천공항은 정비관련시설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인천공항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에 정비시설이 구축되어 있는데, 이 시설들로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전문적으로 부품을 쌓아두고 확실한 정비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Keynote Speech를 하고 있는 Patti Chau
▲갈라디너를 즐기고 있는 모습
▲연설을 하고 있는 Guillaume
▲행사 부스를 관람하고 있는 컨퍼런스 참석자들
▲행사부스를 구경하고 있는 컨퍼런스 참석자들
▲허브공항의 도전과 과제에 대해 토론하고 있는 패널들
▲허브컨퍼런스 패널들의 기념사진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