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돌하르방’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에 제주도의 상징물이 된 지 오래고, 작은 돌하르방을 기념품으로 사서 오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데 이 독특한 모양의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현재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는, (1) 몽골 석인상과 관련한 ‘북방 기원설’, (2) 동남아시아 석인상과 관련한 ‘남방 기원설’, (3) 한반도 본토에서 유입되었다는 ‘본토 유입설’, (4) 『탐라기년(耽羅紀年)』이나『증보탐라지(增補耽羅誌)』등에 기록된 옹중석(翁仲石) 관련 사료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 자생설’ 등이 경쟁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지지를 받았던 북방 기원설은 주로 ‘몽골 석인상’과 ‘제주도 돌하르방’의 유사성에 주목하고, 이를 몽골제국의 제주 지배와 관련짓는 것이었다. 이제까지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 논의한 글들에서 제시한 자료들을 보면, 돌하르방과 ‘비슷하다’는 느낌은 들었지만, ‘똑 같다’는 느낌을 주는 석인상들은 없었다.

  ‘제주도 돌하르방’과 유사한 석인상들은 요서 지역 신석기시대 흥룽와문화(興隆洼文化: BC 6200-5200) 시기의 유적들에서 최초로 보이기 시작해서 조보구문화(趙寶溝文化: BC 5000-4400), 홍산문화(紅山文化: BC 4500-3000)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동북아시아 석인상은 후에 돌궐 석인상, 몽골 석인상, 제주도 돌하르방 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필자가 별도의 논문으로 발표한 바 있다(「몽골 지역 석인상의 기원과 요하문명(遼河文明)」, 『몽골학』 제29호, 한국몽골학회, 145-183쪽).

  그런데, 필자가 내몽고 적봉시 적봉대학 홍산문화연구원에서 안식년(2014.9.1.-2015.8.31.)을 보내던 2014년 10월 21일 적봉시에 인접한 요녕성 조양시(朝陽市) 건평현(建平縣)의 건평박물관에서 제주도 돌하르방과 ‘너무나 똑같이 생긴’ 요나라(遼: 907-1125) 시대의 석인상을 확인하였다.

  이 ‘요대 석인상’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제주도 돌하르방’과 비슷한 정도가 아니라 구별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거의 똑같다. 중국에서 새롭게 발견된 ‘요대 석인상’ 소식은 필자가 「연합뉴스」에 제보하여 기사화 된 2014년 10월 29일부터 며칠 사이에 거의 대부분의 신문과 방송에서 대대적으로 소개되었다. 제주 MBC라디오 <라디오 제주시대(2014.10.29.)>에서는 필자가 적봉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화인터뷰를 할 정도로 관심이 많았다.

  중국학계에서 새롭게 발견하여 건평박물관에 전시된 ‘요대 석인상’은, 2011년 12월에 요녕성 조양시(朝陽市) 건평현(建平縣) 흑수진(黑水鎭) 지역에서 발견된 것으로 사암(砂巖)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요대 석인상’이 발견된 건평현 흑수진 지역은 내몽고 적봉시와 요녕성 조양시의 경계 지역에 위치해 있지만, 요나라 당시에는 요나라의 수도인 중경(中京) 대정부(大定府)에 속해 있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는 아직도 많은 요대의 유적들이 산재하고 있다.

  필자가 건평박물관 관장 등 박물관 관계자들을 만나보았지만, 이들은 제주도 돌하르방 자체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었다. 필자가 핸드폰에서 제주도 돌하르방 사진을 찾아서 건평박물관에 전시된 요대 석인상과 비교해주자 놀랍다는 표정을 지을 뿐이었다.

  제주도 돌하르방과 모양도 거의 똑같고, 몽골 석인상보다 시기가 앞서는 중국에서 새롭게 발견된 ‘요대 석인상’은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한 전혀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고 있다. ‘요대 석인상’의 발견은, (1) 제주도 돌하르방에 대한 북방 기원설에 힘을 보태고, (2) 제주도 돌하르방의 구체적인 ‘외형’은 적어도 요나라 시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완성된 논문은 올해 12월에 출간되는 한국몽골학회의 『몽골학』 51호에 실릴 예정이다.

<자료 1> 요나라 5경(五京)과 ‘요대 석인상’ 발견지(★)

요대 석인상이 발견된 흑수진은 요나라 중심지인 중경 경내에 있다.

<자료 2> 새롭게 발견되어 건평박물관에 전시중인 ‘요대 석인상’과 돌하르방의 비교 

2-1. 요대 석인상(정면)
2-2. 요대 석인상(측면)
2-3. 관덕정 뒤의 돌하르방
2-4. 제주대 박물관 앞의 돌하르방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